탄력적 IP란?

탄력적 IP란 Elastic IP라고도 불리우는데, EC2 인스턴스의 IP를 고정 IP로 사용하기 위하여 설정한다.

EC2 인스턴스는 중지 후 재시작시, 매번 다른 IP를 부여받게 된다. 이렇게 매번 다른 IP를 부여받게 된다면, 정상적인 서비스 배포를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탄력적 IP 설정을 한다.

 

EC2 인스턴스 재시작시 IP 할당

현재 인스턴스에 할당된 IP는 13.124.127.0 이다.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중지

 

 

인스턴스 상태 > 인스턴스 시작

 

재시작시 아래와 같이 43.203.200.57로 IP가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인스턴스가 재시작 되어도 변하지 않는 IP를 설정해야 한다.

 

탄력적 IP 할당

탄력적 IP > 탄력적 IP 주소 할당 > 할당

 

 

탄력적 IP 주소 연결 > 인스턴스 선택 > 연결

 

 

연결 후, 인스턴스의 정보를 보면 아래와 같이 탄력적 IP(고정 IP)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탄력적 IP 설정을 한 후에는 인스턴스를 재시작해도 IP가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 종료  (0) 2024.07.02
[AWS] EC2 인스턴스 생성  (0) 2024.06.30

AWS EC2란?

EC2란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로 탄력적인 클라우드 컴퓨터를 의미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유연하게 생성할수 있는 가상의 클라우드 서버 컴퓨터이다. EC2는 주로 백엔드 API 서버를 배포할때 사용한다.  우리는 개발을 하고 나면 배포를 해야하는데, 내 컴퓨터에 배포를 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서비스를 배포할 다른 서버 컴퓨터를 이용해야 한다. 기존에는 온디맨드(On-Demand) 형식의 물리적인 컴퓨터에 배포를 하였다면,  AWS는 필요한만큼의 가상의 컴퓨터를 만들어 사용한다. 우리는 이 가상의 컴퓨터를 인스턴스(Instance)라고 정의한다.

 

AWS 리전(Region) 선택

AWS Region은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의 위치를 의미한다.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에 접근하려면 네트워크를 통해야 하는데, 거리가 멀수록 네트워크의 접속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비스를 배포할때, 해당 지역에 가까운 데이터 센터를 이용해야한다. 리전(Region)은 AWS에서 구축한 데이터센터마다 구성이 되어있다. 한국의 경우 '아시아 태평양 서울'을 사용하면 된다.

 

AWS 인스턴스란?

AWS에서 인스턴스란 하나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는 인스턴스 설정을 통해 가상의 컴퓨터를 생성할것이다.

 

AWS 인스턴스 생성

EC2 -> 인스턴스 ->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인스턴스 이름과 사용할 OS를 선택한다.

 

인스턴스 유형은 기존 설정을 건드리지 않는다. 신규 가입시 프리 티어를 1년간 사용가능하여 무료이다. 다만 무리하게 사용하게 되면 100% 무료가 아닐 수 있으니, 사용 전 프리 티어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확인해야한다. 

키페어는 서버에 접근하여 관리할 수 있는 키와 같다. 키 페어 생성시, 파일이 생성되는데 해당 파일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하자. 키페어는 나만 알고 있어야 한다. 다른 사람이 해당 파일을 가지고 있게 되면, 나도 모르는 새 다른 사람이 내 서버를 이용할 수 있다. 요금 폭탄을 맞지 않으려면, 키페어 관리에 유의하자.

 

네트워크 설정에서 편집을 누를시 위와 같이 보안 그룹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그룹이란 내 서버에 접속하는 대상의 IP와 PORT를 제한하는 것이다. 위 SSH 설정은 원격접속으로 TCP/22번 포트만을 통해 접속할 수 있도록 제한을 한다는 설정이다. 해당 컴퓨터로 들어오는 IP와 PORT를 제한하고 싶다면, 인바운드 보안 그룹 규칙을 추가해주면 된다.

스토리지(Storage)의 EBS Volumes 이란 컴퓨터의 하드웨어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 AWS에서는 인스턴스의 저장 공간을 설정하는 것이다. 해당 메뉴에서 하드웨어의 크기 및 그 외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필자는 크기(Gib)만 수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우리가 설정한 하나의 컴퓨터(인스턴스)를 생성하게 된다.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AWS 인스턴스 접속

 

위와 같이 연결하면 필자의 경우 ubuntu로 생성된 컴퓨터에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 종료  (0) 2024.07.02
[AWS] EC2 인스턴스 탄력적 IP 설정(고정 IP 설정)  (0) 2024.07.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