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SVN 서버 환경설정
3.1. 방화벽 해제
■ SVN 기본포트는 3690번이므로 해당 포트 방화벽 해제(root 권한으로 실행)
: sudo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3690/tcp
■ Window 방화벽 해제 원격 접속 확인
1. cmd를 실행한다.
2. telnet [서버IP주소] [서버포트] 명령어 실행
■ 주의사항
1. 방화벽은 root 권한으로만 설정 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SVN에 접속하려면 3690번 포트의 방화벽을 해제하여야만 한다.
3.2. 저장소 생성 및 환경설정
3.2.1 PATH 환경변수 설정
: 정상적으로 수동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svn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 환경변수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아래와 같이 .bash_profile에 환경 변수를 추가해준다.
■ .bash_profile
export SVN_HOME = /home/weblogic/svnDir/bin
export PATH = $PATH:$SVN_HOME
- 서버 재부팅 후 svn --version으로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는지 확인한다.
- PATH 환경변수 사용하지 않을 시, /home/weblogic/svnDir/bin/svn --version으로 확인한다.
3.2.2 저장소(Repository) 생성하기
: mkdir [SVN 설치 경로]/[전체 리포지토리 디렉터리명]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전체 리포지토리 디렉터리명]/[저장소 이름]
ex)
: mkdir /home/weblogic/svnDir/bin/svn1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home/weblogic/svnDir/bin/svn1/myRepository
3.2.3 저장소(Repository) 환경 설정하기
:cd myRepository/conf
:mv svnserve.conf svnserve.conf.org -- 백업
:vi svnserve.conf
■ svnserve.conf
[general]
anon-access=none
auth-access=write
password-db=passwd
authz-db=authz
realm=this is comment
anon-access=none :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대해 접근을 거부한다.
auth-access=write :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쓰기 권한을 준다.
password-db=passwd :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계정 정보가 기록된 파일명을 의미한다.
authz-db=authz :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저장소에 대한 권한 설정이 기록된 파일명이다.
realm= myRepository : 인증할 때 보여주는 간단한 저장소 설명이다.(생략 가능)
3.2.3.1. SVN 계정 추가
: mv passwd passwd.org – 백업
: vi passwd
■ passwd
[users]
svn=svn
svn=svn : SVN에 접속할 사용자의ID와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3.2.3.2. SVN 계정 권한 부여
: mv authz authz.org –백업
: vi authz
■ authz
[/]
svn=rw
svn=rw : / 경로에 대해 svn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 주의사항
: 모든 환경설정 파일에 공백이 있을 경우, 파일을 인식하지 못하여 SVN 서버 접속시 오류가 발생한다. 환경설정은 반드시 공백 없이 설정하도록 해야 한다.
3.3. svn 관련 Linux 명령어
■ svn 서버 시작 : 전체 리포지토리를 기준으로 서버를 실행한다.
ex) svnserve -d -r /home/weblogic/svnDir/bin/svn1
■ svn 프로세스 확인 : 기동 중인svn 서버의 프로세스를 확인한다.
ex) ps –ef | grep svnserve
■ svn 네트워크 확인 : svn의 기본 포트인 3690번의 포트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
ex) netstat -anot | grep 3690
■ svn 서버 종료 : 프로세스를 확인하여 svn 서버 기동을 중지한다.
ex) kill -9 [프로세스 번호]
■ svn 저장소 파일 확인 : svn저장소의 내용을 나열해주며 명령어 성공여부를 통해 연결을 확인한다.
ex) svn info svn://[서버IP주소]:3690/myRepository
ex) svn list svn://[서버 IP 주소]:3690/myRepository
3.3. svn 서버 자동 실행 /etc/rc.local 설정
■ 목적 : root권한이 있는 경우 설정 가능한 부분으로, /etc/rc.local 파일을 수정하여 부팅 시 서버 시작 명령어가 실행 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한다.
■ /etc/rc.local
: svnserve –d –r [전체 리포지토리 경로명] 을 보기와 같이 추가한다.
■ /etc/rc.d/rc.local
:cd /etc/rc.d
:chmod 755 rc.local
-/etc/rc.d/rc.local파일의 실행권한이 있어야 재부팅시 명령어가 실행 되므로 chmod를 통해 권한을 변경해주어야 한다.
'SVN'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SVN 일반 사용자 수동 설치(non-root Install) (0) | 2022.12.03 |
---|